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티끌모아태산,티끌이입니다.

 

주식이나 ETF에 관심이 생기면서 ETF 종목명에 "합성"이라는 글자가 있는 걸 보셨지요?

 

저도 처음에는 "합성? 뭔가 합쳐졌다는건가?" 하고 궁금했습니다.

 

오늘은 합성 ETF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쉽게 알려드릴게요.

 

KODEX 미국S&P500 산업재(합성)을 예로 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합성 ETF란?

"수익률만 따라가는 ETF"

합성 ETF는 기초지수(예: S&P500 산업재)에 있는 실제 주식들을 직접 사지 않고,

그 지수의 수익률만 따라가는 ETF입니다.

 

핵심 요약
합성 ETF = 실제 주식은 없음 + 수익률은 같음

 

 "어떻게 그게 가능하지?"

비밀은 스왑(Swap)이라는 파생상품 계약에 있습니다.

 

 

 

 

스왑(Swap)?

수익률만 서로 교환하는 계약

스왑은 금융기관끼리 서로의 수익률을 교환하는 계약입니다.

 

예를 들어

  • ETF 운용사(예: 삼성자산운용)는 국내 주식/채권에 투자해 수익을 냅니다.
  • 글로벌 투자은행(예: 골드만삭스)은 미국 S&P500 산업재 지수의 수익률을 갖고 있죠.
  • 서로 이렇게 말합니다
ETF 운용사: "내가 국내 수익 줄게."

투자은행: "난 너한테 미국 산업재 지수 수익률 줄게."

 

이렇게 수익률만 맞바꾸는 구조가 바로 합성 ETF의 핵심입니다.

 

 

 

 

 KODEX 미국S&P500 산업재(합성) 구조 한눈에 보기

이 ETF는 미국 산업재 섹터 지수를 추종하지만,

실제로 미국 주식을 사지 않습니다.

 

구조 요약

  1. 투자자는 ETF를 구매함
  2. ETF는 국내 자산(주식/채권)에 투자
  3. 스왑 계약을 통해 글로벌 은행과 수익률 교환
  4. 투자자는 S&P500 산업재 지수 수익률을 얻게 됨

즉, 주식은 안 사지만 수익은 똑같이 따라가는 거죠!

 

 

 

 

왜 굳이 이렇게 복잡하게 할까?

장점

  • 해외 주식을 직접 사지 않아도 지수 수익률을 추종 가능
  • 원자재, 해외지수 등 실물 매수가 어려운 자산에 유리
  • 일부 ETF는 환헤지 기능도 탑재

 

단점 (주의할 점)

 

 

 

합성 ETF, 알고 사자!

합성 ETF = 실물 보유 없이 수익률만 교환하는 ETF
'합성'이라고 해서 가짜는 아님! 다만 구조와 위험은 이해하고 투자하자
스왑 상대방, 환헤지 여부, 보유자산 등은 ETF 운용보고서에서 확인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