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티끌모아 태산,티끌입니다.

 

요즘 고배당 ETF나 커버드콜 ETF라는 말 자주 들으시죠?

 

저도 처음엔 "커버드콜? 콜옵션? 무슨 뜻인지 하나도 모르겠는데?" 싶었어요.

 

그래서 오늘은 저처럼 처음 접하는 분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해볼게요!

 

 

 

 

콜옵션이란?

– "살 수 있는 권리"

 

먼저 콜옵션(Call Option)부터 알아볼게요.

 

이건 간단히 말해서,

"앞으로 어떤 주식을 정해진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를 말해요.

 

예시로 이해하기

  • 현재 삼성전자 주가가 6만 원이라고 해볼게요.
  • 내가 한 달 뒤에 6만 5천 원에 삼성전자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1천 원 주고 샀어요.

 

주가가 6만 원으로 떨어졌다면 ↓

굳이 비싼 6.5만 원 주고 살 필요 없죠. 그냥 권리를 포기하면 끝!

→ 손해는 1천 원 옵션값이 전부

 

주가가 7만 원으로 올랐다면 ↑

난 6.5만 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가졌으니까

7만 원에 팔면 차익 5천 원 - 옵션값 1천 원 = 4천 원 수익!

 

즉, 콜옵션은 오를 거라고 생각할 때 사는 것이에요.

떨어지면 그냥 포기하면 되니 손실은 정해져 있고, 수익은 열려 있죠.

 

 

 

 

커버드콜 전략이란?

– 콜옵션을 파는 사람의 전략

그럼 이제 커버드콜이 뭔지 알아볼게요.

이건 콜옵션을 “파는” 쪽의 전략이에요.

이 전략을 쓰는 사람은 이렇게 생각해요

 

“내가 가진 주식을 당장 팔 생각은 없지만, 누가 사겠다고 하면 일정 가격에 팔아줄게.
대신 옵션료는 미리 줘!”

 

예시로 보기

  • 내가 삼성전자 주식 100주를 보유 중
  • 누군가에게 6.5만 원에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1천 원 받고 팔았어요.

 

한 달 뒤 주가가 6만 원으로 떨어진다면 ↓

  • 상대방은 비싸게 살 이유 없죠 → 옵션은 무효
  • 난 주식은 그대로 가지고 있고, 1천 원은 수익으로 챙김

 

주가가 7만 원으로 올랐다면? ↑

  • 상대방은 6.5만 원에 사고 싶어하겠죠
  • 나는 6.5만 원에 팔아야 함 → 더 오르는 이익은 놓치지만, 옵션료는 벌었어요

 

 

 

 

 

커버드콜 ETF란?

QYLD, XYLD, JEPI, TLTW... 요즘 인기 있는 ETF 중에 ‘커버드콜’ 전략 쓰는 게 많아요.

이런 ETF는

  • 주가지수(예: 나스닥 100, S&P 500 등) 종목들을 보유하면서
  • 그 지수 관련 콜옵션을 판매해 옵션 프리미엄(수익)을 받아요

→ 그래서 배당처럼 꾸준한 수익(월배당)을 주기도 하죠!

 

 

 

 

정     리

 

 


 

 

커버드콜이나 콜옵션은 처음 들으면 낯설지만, 알고 보면 그렇게 어렵지 않아요.

  • 콜옵션: 오를 걸 기대하는 사람이 사는 권리
  • 커버드콜: 내 주식을 빌미로 수익을 챙기려는 전략

 

ETF에 적용되면, 안정적인 배당 수익을 추구하는 방식으로 쓰이기도 해요.

이제 커버드콜 ETF를 봤을 때 “아~ 이건 옵션을 팔아서 수익 내는 전략이구나” 하고 생각하면 되겠죠?^^

 

오늘도 즐겁고 행복한 하루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