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티끌모아 태산, 티끌이입니다.

 

최근 DeFi(탈중앙화 금융)가 활발해지면서 DEX(탈중앙화 거래소)에 대한 관심도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이런 궁금증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DEX에서는 코인이 거래되는 걸까? 아니면 토큰이 거래되는 걸까?"

 

 지금부터  코인과 토큰의 차이, DEX의 구조, 그리고 블록체인별 DEX의 존재 방식까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코인 vs. 토큰, 어떻게 다를까?

먼저 용어 정리부터 해볼게요.

코인과 토큰은 비슷해 보여도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즉, 코인은 블록체인의 주인공이고

토큰은 그 위에서 만들어진 손님 같은 개념이예요.

 

 

 

 

DEX에서 무엇이 거래될까?

정답은 바로...

DEX에서는 주로 “토큰(Token)”이 거래됩니다.

 

DEX는 대부분 이더리움, 바이낸스 스마트 체인, 솔라나 등 특정 블록체인 위에 만들어집다.

그리고 그 위에 발행된 ERC-20, BEP-20 같은 표준화된 토큰끼리만 쉽게 교환할 수 있죠.

 

 

 

 

예를 들어볼게요

유니스왑(Uniswap, 이더리움 기반)을 예로 들면

 

  •  거래 가능 : USDT → UNI, DAI → LINK
  • ETH도 거래되긴 하지만, 사실은 WETH(Wrapped ETH)형태로 거래되요.
  • 즉, ETH도 토큰화해서 쓰는 셈이죠.

 

 

 

 

랩드 코인(랩핑 토큰)이란?

비트코인(BTC)은 이더리움 위에서 직접 거래할 수 없지만,

WBTC(Wrapped BTC)라는 형태로 ERC-20 토큰화하면 거래가 가능해져요.

이처럼 코인을 토큰처럼 사용할 수 있게 감싼 형태를 랩핑 토큰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DEX는 블록체인마다 하나씩 존재하는 것일까?

맞아요!

DEX는 각 블록체인마다 따로 존재합니다.

 

이유는 간단해요.

DEX는 스마트 계약으로 만들어지며, 그 계약을 특정 블록체인에만 존재하거든요.

 

 

 

 

블록체인별 대표 DEX 정리

 

이처럼, 체인마다 다른 DEX가 만들어지고, 해당 체인의 자산만 거래할 수 있어요.

 

 

 

 

체인 간 이동은 어떻게? →  브리지(Bridge)

 

서로 다른 체인에 있는 자산을 DEX에서 바꾸려면 브리지(Bridge)를 사용해야 합니다.

 

  • 예 : Ethereum의 USDT → Polygon의 USDT로 전송
  • 이 과정을 통해 서로 다른 체인의 자산을 이동시키고, 해당 체인의 DEX에서 사용 가능해요.

 

 

 

 

오늘의 마무리~

오늘의 핵심 내용을 정해볼게요.

 

  1. DEX에서는 주로 “토큰”이 거래된다.
  2. 코인은 직접 거래되기보다는 랩핑 토큰 형태로 사용된다.
  3. DEX는 블록체인마다 따로 존재하며, 각 체인의 자산만 다룰 수 있다.
  4. 서로 다른 체인의 자산은 브리지를 통해 이동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