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티끌모아 태산, 티끌입니다.

블록체인에 관한 글을 보면 DEX라는 용어가 나옵니다. DEX(Decentralized Exchange)는 탈중앙화 거래소라는 뜻이예요. 즉, 중앙관리자 없이 사용자끼리 직접 암호화폐를 사고팔 수 있는 거래소입니다. 오늘은 이 DEX를 누가 관리하는 것인지 알아보겠습니다. 

 

 

 

 

DEX는 누가 관리 하나요?

 1. 스마트 컨트랙트가 핵심 운영자

DEX는 대부분 블록체인 위에 배포된 스마트 컨트랙트로 운영됩니다.  사람이나 중앙기관의 개입 없이도 신뢰성 있게 작동하죠. 예를 들어 A가 B에게 “이더리움 1개를 보내면, 나는 NFT를 전송한다”는 조건을 걸면, 스마트 컨트랙트는 이 조건이 만족될 때 자동으로 이더리움과 NFT를 교환해줘요. 둘 중 누가 사기 칠 걱정이 없습니다.

 

스마트 컨트랙트란

블록체인 위에 기록된 코드로, 정해진 조건이 충족되면 자동으로 실행되는 계약입니다.

 

 

 

 

2. 커뮤니티와 토큰 홀더에 의한 관리

많은 DEX들은 거버넌스 토큰을 발행합니다. 이 토큰을 가진 사람들이 제안하고, 투표를 통해 시스템 업그레이드나 수수료 정책등을 결정해요.

 

토큰홀더

토큰 홀더 = 거버넌스 권한을 가진 사용자들

토큰홀더는 해당 프로젝트의 거버넌스 토큰을 지갑에 보유한 사람들을 말해요. 이들이 바로 프로젝트 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권한자들입니다.

 

거버넌스란?

블록체인이나 DAO, DeFi 같은 탈중앙화 시스템에서 규칙을 만들고 결정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커뮤니티란?

여기서 말하는 커뮤니티는 단순히 ‘커뮤니티 느낌’이 아니라, 프로젝트에 관여하고, 참여하고, 의견을 내는 모든 사람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쉽게 말하면 “그 프로젝트를 함께 쓰고, 만들고, 결정하는 사람들의 네트워크”입니다.

 

 

# 커뮤니티는 누가 포함되나요?

 

 

 

 

# 커뮤니티 VS 토큰 홀더-뭐가 달라요?

 

 

 

 

3. 코어 개발자 혹은 재단이 기술 유지 보수

DEX는 아무리 탈중앙화되어도, 초기 개발자나 재단이 존재하는 경우가 많아요. 이들은 새로운 기능 개발, 보안 패치, UI 업데이트 등을 담당합니다. 다만, 이 역할은 투명하게 공개되거나, 커뮤니티에 의해 감시되기도 합니다.

 

 

 

요약하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