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블록체인 개념 쉽게 정리하기
안녕하세요! 티끌모아 태산, 티끌이입니다.
블록체인을 공부하다 보면 자주 보게 되는 두 가지 용어, 바로 DAO와 DeFi!
처음 보면 둘 다 비슷한 말처럼 느껴지지만, 알고 보면 완전히 다른 개념이랍니다.
오늘은 이 두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비교 설명해 드릴께요~
DAO란?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
탈중앙화 자율조직
DAO는 전통적인 회사나 조직처럼 대표나 관리자 없이, 스마트 계약과 토큰 투표를 통해 자율적으로 운영되는 조직이에요.
DAO의 핵심 특징
- 중앙 관리자 없이 커뮤니티 구성원이 운영
- 토큰 투표로 의사결정 진행
- 자금 운영, 정책 변경 등을 모두 스마트 계약으로 자동화
DAO의 대표적인 사례3가지
DeFi란?
DeFi(Decentralized Finance)
탈중앙화 금융
DeFi는 기존 은행, 증권사 같은 중앙 기관 없이도 블록체인을 통해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에요.
DeFi의 주요 기능
- 예치하고 이자 받기
- 암호화폐를 담보로 대출 받기
-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토큰 교환하기
DeFi 대표적 사례3가지
DAO와 DeFi 공통점은?
둘다 블록체인 기술 기반이며, 탈중앙화와 스마트 계약 자동화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어요. 특히 많은 DeFi 프로젝트들은 자체 DAO를 통해 거버넌스를 운영하기도 해요.
거버넌스란?
블록체인이나 DAO, DeFi 같은 탈중앙화 시스템에서 규칙을 만들고, 결정하고, 운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DAO vs. DeFi 비교정리
한 줄 요약...
- DAO는 “어떻게 조직을 운영할까?”에 대한 거버넌스 중심 시스템
- DeFi는 “어떻게 은행 없이 금융 거래를 할까?”에 대한 금융 중심 시스템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X(탈중앙화 거래소)는 누가 관리하는 건가요? (0) | 2025.04.15 |
---|---|
블록체인에서 사용되는 ‘토큰’의 종류와 그 성격은? (4) | 2025.04.11 |
NFT란 무엇인까? (4) | 2025.04.09 |
가상화폐는 어디에서 발행하는 걸까? (2) | 2025.04.08 |
블록체인 작업증명(PoW)과 지분증명(PoS) 비교 (2)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