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티끌모아 태산,티끌입니다.
요즘 미국의 관세정책으로 시장이 뒤숭숭한데요.
이와 더불어 기축통화인 달러에 대한 말도 많습니다.
오늘은 달러가 강세일 때, 약세일 때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달러 강세와 약세, 이게 무슨 뜻일까?
환율 기본 개념 정리
- “달러 강세”는 1달러로 더 많은 원화를 살 수 있는 상태
- “달러 약세”는 1달러로 살 수 있는 원화가 줄어든 상태
달러 강세일 때 한국 경제에 나타나는 변화
O 수출기업에는 기회
- 원화로 환산한 수익이 커짐
- 자동차, 반도체 같은 수출 주도 산업에는 호재
X 수입물가 상승 → 물가 압박
- 원자재, 에너지 수입 비용 상승
- 국내 물가 상승 → 소비자 부담 증가
X 외국인 투자자 이탈 가능성
- 달러로 자산 보유하려는 움직임
- 한국 주식/채권시장에 자금 이탈
달러 약세일 때 한국 경제의 변화
X 수출기업 부담 증가
- 달러로 벌어들인 수익을 원화로 환산할 때 손해
- 가격 경쟁력 저하
O 수입물가 하락 → 물가안정
- 원유, 곡물, 원자재 등의 가격 하락
- 소비자 물가 안정, 생활비 부담 완화
O 외국인 투자 유입 기대
- 한국 자산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느껴짐
- 자금 유입 →금융시장 안정
소비자와 기업 입장에서의 환율 영향 정리
반응형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축통화와 시뇨리지 (1) | 2025.04.25 |
---|---|
미국 국채 가격이 하락하면 금리가 오른다? (0) | 2025.04.24 |
DEX에서 거래되는 것은 토큰일까? 코인일까? (1) | 2025.04.18 |
암호화폐, 코인, 토큰의 차이점 정리 (2) | 2025.04.17 |
블록체인 토큰이 뭔가요? (1)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