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주식 시장의 숨은 조력자, 유동성 공급자(LP)란?

안녕하세요? 티끌모아태산,티끌입니다. 주식이나 ETF를 거래할 때, 매수 버튼을 누르면 바로 체결되는 이유가 궁금하셨나요? 그 배경에는 유동성 공급자(LP: Liquidity Provider)라는 존재가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 시장의 원활한 흐름을 책임지는 이들의 역할과 수익 구조, 위험 요소까지 한 번에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유동성 공급자(LP)란?유동성 공급자는 주식, ETF, ETN 등 금융 상품에 대해 지속적으로 매수와 매도 호가를 제시하여 거래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쉽게 말해, 시장에 항상 “살 사람”과 “팔 사람”이 있게 해주는 조력자입니다. 왜 유동성 공급자가 필요할까요?주식 시장에서는 매수자와 매도자의 가격이 잘 맞지 않으면 거래가 성사되지 않습니다.특히 거래..

재테크/주식 2025. 5. 2. 05:34
ETF 투자 시 꼭 알아야 할 '괴리율'이란?

안녕하세요? 티끌모아태산,티끌이입니다. ETF(상장지수펀드)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 들어봤을 ‘괴리율’. 처음 접하면 낯설지만, 알고 나면 매수·매도 타이밍을 판단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오늘은 괴리율이 무엇인지, 왜 중요한지, 얼마일 때 안심할 수 있는지까지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괴리율이란?괴리율은 ETF의 실제 거래 가격과 순자산가치(NAV) 간의 차이율(%)을 말합니다. 즉,ETF가 추종하는 지수 또는 보유 자산 기준으로 계산한 이론적인 가격과실제 시장에서 사고팔리는 가격 사이의 갭(Gap)을 숫자로 보여주는 것입니다. 예시로 이해해볼까요?어떤 ETF의 이론적 가치(NAV)가 10,000원인데실제 시장에서는 10,200원에 거래되고 있다면? → 괴리율 = +2%즉, 이 ETF는 이론가보다 2%..

재테크/ETF 2025. 5. 1. 16:09
기축통화와 시뇨리지

안녕하세요? 티끌모아태산,티끌입니다. 신문을 읽다가 시뇨리지라는 단어를 보게 되었어요.넓은 의미로 정부가 돈을 발행하면 얻는 경제적 이익이라고 합니다. 문득 그럼 미국은 달러를 계속 찍어내도 괜찮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어요.오늘은 의문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기축통화란 무엇인가요?전 세계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국제 거래의 기준 통화를 말합니다.현재 그 대표적인 통화는 미국 달러죠. 원유, 금, 곡물 등 주요 자원의 거래도 대부분 달러로 이루어지고각국 중앙은행들은 외환보유고의 대부분을 달러로 보유합니다즉, 달러는 전 세계가 신뢰하는 통화입니다. 시뇨리지(Seigniorage)란 무엇일까요?시뇨리지는 쉽게 말해 “돈을 찍어낼 때 생기는 이익”입니다.정부가 발행한 돈으로 실물 자산이나 서비스를 구..

재테크 2025. 4. 25. 13:02
미국 국채 가격이 하락하면 금리가 오른다?

안녕하세요? 티끌모아태산,티끌입니다. 경제 기사나 뉴스에서 자주 나오는 표현,“국채 가격이 하락했다”, “국채 금리가 뛰었다”이런 말들, 과연 정확히 무슨 뜻일까요?오늘은 미국 국채 가격과 금리의 관계를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미국 국채란 무엇인가요?미국 국채는 미국 정부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입니다.투자자는 미국 정부에 돈을 빌려주고, 그 대가로 이자(쿠폰)를 받습니다. 안정성이 매우 높아 전 세계 투자자들이 찾는 대표적인 투자 상품입니다.종류로는 단기, 중기, 장기, 물가연동채 등이 있습니다. 국채는 어떻게 발행되나요?미국 국채는 미국 재무부에서 발행하고,대부분 공개 경매를 통해 1차 시장에서 판매됩니다. 1차 시장에서 판매된 국채는 이후 2차 시장에서 자유롭게 거래되며,이 과..

재테크 2025. 4. 24. 10:47
이전 1 2 3 4 5 6 7 8 ··· 18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help@abaeksite.com | 운영자 : 아로스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