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티끌모아 태산,티끌입니다.
요즘 미국배당주에 관심을 가지고 한 주씩 사고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 배당지급일을 알고 싶은데 네이버증권에서는 배당기준일만 나오더라고요.
오늘은 배당기준일과 배당지급일이 다른 이유와 미래에셋증권앱에서 내가 보유한 배당주의 실제 배당지급일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당기준일 vs 배당지급일, 뭐가 다를까?
많은 분들이 배당기준일 = 배당지급일이라고 착각하기 쉬운데요,
사실은 이 둘 사이에는 며칠의 시간 차이가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왜 날짜 차이가 생기는 걸까?
배당기준일에 배당 대상자를 정한 뒤에는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납니다
1. 배당 대상자 명단 확정
→ 주주 또는 ETF 보유자를 기준일 기준으로 확정
2. 배당금액 계산 및 회계 처리
→ 얼마나 줄지, 누가 받을지 정확히 계산
3. 배당금 송금 절차
→ 특히 미국 ETF의 경우 달러로 지급되고, 한국 증권사에서는 환전 후 원화로 입금해야 함
4. 주말 및 공휴일 고려
→ 지급일이 토요일이나 공휴일이면 다음 영업일로 미뤄짐
이러한 과정 때문에 보통 배당기준일과 지급일 사이에는 3~7일 정도의 시차가 생기게 됩니다.
왜 네이버금융 같은 사이트에는 지급일이 안 나올까?
많은 투자자들이 이용하는 네이버금융, 다음, 증권 앱에서는 일반적으로 배당기준일만 명시되고, 지급일은 생략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지급일은 변동 가능성이 큼
주말, 미국 공휴일, 처리 지연 등으로 지급일이 바뀔 수 있음
국내 포털은 이런 변동까지 반영하기 어려움
2. ETF마다 운영방식이 다름
운용사(예: 블랙록, 글로벌X, 찰스슈왑 등)마다 배당 지급일 정책이 상이
이 정보를 업데이트하려면 해당 운용사 공식 공시를 실시간 반영해야 하는데, 국내 포털은 이런 시스템을 갖추지 않음
3. 지급일보다 기준일이 더 중요하다고 보기 때문
투자자 입장에서 배당을 받느냐 마느냐는 기준일로 결정 그
래서 기준일 정보 위주로만 제공
미래에셋증권 모바일앱에서 배당지급일 확인하는 방법
메뉴선택 순서
메인화면 > 메뉴 > 자산뱅킹 > MY자산 > 플래너 > 배당플래너 > 배당상세
배당상세에서 원하는 달을 선택하면 종목별로 배당지급일이 나옵니다.
오늘을 배당기준일과 배당지급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미국배당주를 처음 사보는 거라 모르는 것 투성이지만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가 있네요.
뭐든 시작하기 전엔 저걸 다 어떻게 알아가나 싶습니다.
그래도 의문을 가지고 하루에 한가지라도 풀어나가다보면 그것들이 모이고 모여 연결고리가 생기는 것 같아요.
오늘도 연결고리 하나 만들고 갑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재테크 >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의 총보수, 실제로 내 돈에서 어떻게 빠지는 걸까? (0) | 2025.07.11 |
---|---|
인버스 ETF란? 하락장에서 수익을 노리는 ETF 구조 완전 정리 (1) | 2025.05.16 |
RISE200 고배당 커버드콜ATM ETF 이해하기 (2) | 2025.05.15 |
액티브 ETF란? (1) | 2025.05.14 |
데일리 커버드콜 ETF란?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