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티끌모아 태산,티끌입니다. 요즘 미국배당주에 관심을 가지고 한 주씩 사고 있습니다.그런데 실제 배당지급일을 알고 싶은데 네이버증권에서는 배당기준일만 나오더라고요. 오늘은 배당기준일과 배당지급일이 다른 이유와 미래에셋증권앱에서 내가 보유한 배당주의 실제 배당지급일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배당기준일 vs 배당지급일, 뭐가 다를까? 많은 분들이 배당기준일 = 배당지급일이라고 착각하기 쉬운데요,사실은 이 둘 사이에는 며칠의 시간 차이가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왜 날짜 차이가 생기는 걸까? 배당기준일에 배당 대상자를 정한 뒤에는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납니다 1. 배당 대상자 명단 확정 → 주주 또는 ETF 보유자를 기준일 기준으로 확정 2. 배당금액 계산 및 회계 처리 ..

안녕하세요? 티끌모아 태산,티끌이입니다. 오늘은 ETF 투자자라면 한 번쯤 궁금해봤을 ‘총보수(TER)’가 실제로 어떻게 반영되는지에 대해 쉽게 풀어보려고 합니다. 저도 처음엔 ‘이게 매일 빠진다고? 그럼 내 돈에서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거야?’ 하고 궁금했거든요. 총보수(TER)란? 먼저 용어부터 정리할게요.TER (Total Expense Ratio, 총보수)는 ETF를 운용하는 데 들어가는 모든 연간 비용 비율입니다.쉽게 말하면, 내가 보유한 ETF 자산 중 일부가 매년 ‘자동으로’ 운영비로 빠지는 구조예요. 포함되는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아요 운용보수 : ETF를 설계하고 굴리는 자산운용사의 수수료 수탁보수 : ETF 자산을 보관해주는 은행의 수수료 사무관리보수 : 회계·세무 등 행정 업무 ..

안녕하세요? 티끌아태산,티끌이입니다. 주식시장이 하락하면 무조건 손해일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습니다. ‘하락장에 수익을 낼 수 있는’ ETF도 존재합니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인버스 ETF입니다. 오늘은 인버스 ETF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대표 상품인 KODEX 200선물인버스2X ETF를 예로 알아보겠습니다. 인버스 ETF란?인버스(Inverse) ETF는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반대로 추종하는 ETF입니다. 즉,지수가 하락하면 수익지수가 상승하면 손실이라는 구조죠. 예시로 간단히 보면KOSPI200 지수가 -1% 하락 → 인버스 ETF는 +1% 수익KOSPI200 지수가 +2% 상승 → 인버스 ETF는 -2% 손실 인버스 ETF는 선물 등의 파생상품을 활용해, 마치 지수 하락에 베팅하는 구조로 운..

안녕하세요? 티끌모아 태산,티끌입니다. 주식이나 ETF 투자하다 보면 낯선 용어를 종종 마주치게 됩니다. 오늘 소개할 “RISE200 고배당 커버드콜ATM ETF”도 이름부터 어렵죠? 하지만 걱정 마세요. 하나하나 쉽게 풀어드릴게요. 이 글만 보시면 "ATM ETF"가 어떤 건지 제대로 이해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이름부터 해부해봅시다RISE200 고배당 커버드콜ATM — 이름이 꽤 길지만, 사실 전략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어요. 커버드콜 전략이 뭐죠?커버드콜은 말 그대로 커버(보유 중인 주식) + 콜옵션(살 수 있는 권리)를 매도하는 전략입니다. ETF는 KOSPI200 지수 구성 종목을 보유하면서, 그 주식을 기초로 한 콜옵션을 매도합니다.이때 받은 프리미엄(옵션료) 이 ETF의 수익원..